-
목차
Search Console의 '커버리지' 오류 해결법 총정리
블로그나 웹사이트를 운영하다 보면, 구글 서치 콘솔(Google Search Console)에서 '커버리지(Coverage)' 오류 경고를 종종 접하게 됩니다. 저도 처음 블로그를 키울 때는 이 알림이 뜰 때마다 깜짝깜짝 놀라곤 했습니다. "대체 뭐가 문제지?" 싶은 마음이 들었죠. 하지만 커버리지 리포트는 단순한 문제 알림이 아니라, SEO를 개선할 수 있는 힌트를 주는 굉장히 중요한 데이터입니다.
이 글에서는 커버리지 오류의 종류별 원인과 해결 방법, 그리고 이 리포트를 제대로 활용하는 방법까지 총정리하겠습니다먼저, 커버리지 리포트란 무엇인지 부터 알아봅시다..
1. 커버리지 리포트란 무엇인가?
커버리지 리포트는 구글이 웹사이트의 페이지들을 어떻게 색인 처리(Indexing)했는지를 보여주는 보고서입니다.
크게 다음과 같은 4가지 상태로 나눌 수 있습니다.- 오류(Error): 색인이 실패했거나 문제가 있어 검색 노출이 안 되는 상태
- 유효(Valid): 정상적으로 색인된 페이지
- 유효하나 경고 있음(Valid with Warning): 색인되긴 했지만, 일부 문제가 감지된 페이지
- 제외됨(Excluded): 구글이 색인을 하지 않기로 결정한 페이지
핵심 포인트:
커버리지 오류가 많을수록 구글이 사이트를 신뢰하는 정도가 떨어지고, SEO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2. 주요 커버리지 오류 유형 총정리
Search Console에서는 다양한 오류 메시지를 보여줍니다. 주요 오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서버 오류 (5xx)
- 404 오류 (페이지를 찾을 수 없음)
- Soft 404 (실제로는 페이지가 없는데 200 OK를 반환하는 경우)
- 리디렉션 오류
- 탐색됨 - 현재 색인되지 않음
- 제출됨 - 현재 색인되지 않음
- 페이지에 'noindex' 태그 포함
- 허용되지 않은 요청 (robots.txt 차단)
처음 보면 굉장히 복잡해 보이지만, 사실 패턴이 있습니다. 하나하나 차근차근 해결하면 충분히 관리할 수 있습니다.
3. 각 오류별 원인과 해결 방법
(1) 서버 오류 (5xx)
- 원인: 서버 다운, 과부하, 내부 오류 등
- 해결법:
- 호스팅 서버 상태 점검
- 트래픽 급증 시 서버 사양 업그레이드
- 웹 개발자에게 서버 로그 분석 요청
개인 경험:
블로그에 처음 방문자가 늘던 시기, 서버 과부하로 503 오류가 떴던 적이 있습니다. 서버를 안정화시키자 자연스럽게 오류가 사라졌고, 검색 순위도 회복되었습니다.(2) 404 오류
- 원인: 삭제된 페이지, URL 변경
- 해결법:
- 필요한 경우 301 리디렉션 설정
- 불필요한 경우 Search Console에서 '문제 해결됨'으로 표시
팁: 404 페이지 자체도 방문자에게 친절한 메시지를 제공하면 SEO에 도움이 됩니다.
(3) Soft 404 오류
- 원인: 내용이 거의 없는 페이지가 정상 응답(200)을 반환할 때
- 해결법:
- 실질적 콘텐츠를 추가하거나
- 삭제하고 404 상태로 변경
(4) 리디렉션 오류
- 원인: 잘못된 301/302 리디렉션 체인
- 해결법:
- 리디렉션 체인 최소화 (가능하면 1회만 리디렉션)
(5) 탐색됨 - 현재 색인되지 않음
- 원인: 구글이 페이지를 발견했지만, 품질 부족이나 정책으로 색인을 하지 않음
- 해결법:
- 콘텐츠 품질 강화
- 내부 링크 연결 강화
- 사이트맵 재제출
개인 체험:
저는 이 오류를 대량으로 발견한 뒤, 내부 링크를 촘촘히 다시 연결하고 콘텐츠 퀄리티를 높였습니다. 그 결과, 2개월 후 색인되지 않던 글들이 대거 색인되었습니다.(6) 제출됨 - 현재 색인되지 않음
- 원인: 사이트맵 제출은 했지만 색인 거부
- 해결법:
- 페이지 콘텐츠 점검
- meta robots="noindex" 여부 확인
- 모바일 친화성 테스트
4. 자주 발생하는 실수 & 주의사항
- 오류를 무시하고 방치하기:
시간이 지나면 문제는 더 악화됩니다. - 잘못된 리디렉션 남발:
검색 엔진은 과도한 리디렉션을 매우 싫어합니다. - 중복 콘텐츠 관리 부실:
중복된 페이지는 구글이 색인을 거부할 가능성을 높입니다. - robots.txt 파일 실수:
'Disallow' 명령어를 잘못 설정하면 중요한 페이지까지 색인이 막힐 수 있습니다.
5. 커버리지 리포트를 SEO 개선에 활용하는 팁
커버리지 리포트는 단순한 오류 보고가 아닙니다. 제대로 활용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사이트 건강 상태 주기적 점검
- 색인 누락 문제 조기 발견
- 트래픽 급감 원인 파악
- 검색 엔진 신뢰도 향상
개인 전략:
저는 한 달에 한 번 정기적으로 커버리지 리포트를 리뷰합니다. 그리고 오류가 하나라도 발견되면 바로 수정합니다. 이렇게 관리한 결과, 블로그 신뢰도가 꾸준히 올라가고 있습니다.
6. 결론: 커버리지는 블로그의 '건강검진표'다
Search Console의 커버리지 리포트는 마치 블로그의 건강검진표와 같습니다.
오류를 빠르게 발견하고 수정하는 습관을 들이면, 검색 노출과 트래픽 모두 눈에 띄게 개선될 수 있습니다.처음에는 복잡하고 어려워 보일 수 있지만, 몇 번 반복하다 보면 패턴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저도 초반에는 오류 메시지를 볼 때마다 긴장했지만, 지금은 오히려 SEO 개선의 기회로 적극 활용하고 있습니다.
여러분도 블로그나 사이트를 성장시키고 싶다면, 커버리지 오류를 그냥 넘기지 말고 적극적으로 관리하세요.
'오류를 고친 만큼 성장한다' — 이 마인드로 접근하면 분명히 좋은 결과가 따라올 것입니다.'디지털 마케팅 & SEO'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O와 브랜드 인지도의 상관관계: 마케팅 성공을 위한 필수 전략 (0) 2025.04.09 SEO 관점에서 AI 생성 콘텐츠 활용법과 한계 (0) 2025.04.07 Google Passage Indexing이 SEO에 미치는 영향 (심화편) (0) 2025.04.07 SILO 구조를 이용한 블로그 트래픽 증대 전략 (심화편) (0) 2025.04.07 챗GPT 같은 AI 도구를 활용한 콘텐츠 아이디어 발굴법 (0) 2025.04.04